본문 바로가기
사주 팔자 (명리학)

사주 십성(十星)과 육친(六親) 이란??

by TwinJ 2022. 1. 12.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주의 십성(十星)과 육친(六親)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음양오행 사상을 바탕으로 십성은 일간을 중심으로 상생과 상극에 따라 10가지 속성이 나타나게 됩니다. 10가지의 의미는 아래 표에서 간략히 설명해 놓았습니다. (六親), 나와 가까운 , , , , , 6명의 가족을 나를 기준으로 해석하는 개념입니다. (아버지, 어머니, , 동생, 배우자, 자식)

 

본인의 사주 팔자를 보면 아래와 같이 나타나게 됩니다. 만세력에서 본인의 사주팔자의 오행 구성을 찾는 방법은 이 블로그의 "본인의 일간(일주)쉽게 확인하는 법을 보시면 됩니다.

본인의 일간(일주) 쉽게 확인하는 법

사주 십성 및 육친의 의미

동양사상에서는 사주가 조화를 이룰때, 즉 본인의 세력 (비견/겁재)과 외부의 세력이 동등한 것을 좋은 사주로 봅니다

간단하게만 설명 드리면, 재성운(정재/편재)이 여러 개 있다고 할때 재성운은 돈을 의미하므로, 재성운이 많으니, 돈복이 많다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본인의 세력이 신강하거나, 대운에서 본인의 부족한 기운을 보충받을때 이 돈을 거머쥘수 있는 것이지, 본인이 재성을 감당하지 못할경우는 아무리 많아도 돈이 모이지 않거나 빈곤한 삶을 살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어떤 십성이 많다고, 그것이 좋다는 의미가 아니라 사주 전체를 보고 풀이해야 하는 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육친은 남명(男命)과 여명(女命)에 따라 상징하는 것이 다릅니다.

본인 일간이 목()인 경우를 기준으로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1) 사주 팔자에 본인의 일간과 같은 목()이 있을 경우, 비견/겁재, ()의 기운이 오면 식신/상관, ()의 기운이 오면 정재/편재, ()이 오면 정관/편관, ()의 기운이 오면 정인/편인이 됩니다.

 2) 남자인지 여자인지에 따라 해당하는 육친이 달라집니다.

 3) 남자 기준으로 육친 관계를 예를 들어 살펴 보겠습니다.

   - 수와 토는 어머니와 아내의 관계로서, 토는 수를 극합니다. 남자가 결혼하면 어머니를 극하게 되는 것이고, 결혼 적령기가 된 남자는 어머니 곁을 떠나서 독립적으로 가정을 꾸리며 살아가야 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 목과 금은 본인과 자식과의 관계로서, 금은 목을 극합니다. 자녀가 생기게 되면 가장으로서 어깨가 무거워 지며, 아내는 남편보다는 자식에 헌신하게 되는 의미입니다.

 4) 여자기준으로 육친 관계를 예를 들어 살펴 보겠습니다.

   - 화와 금은 자식과 남편의 관계로서, 남자가 자식을 낳기 전에는 남자에게 애정을 쏟지만, 자식을 낳게 되면 아내는 남편보다는 자식에 헌신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 목과 금은 본인과 남편과의 관계로서 시집을 가게 되면, 남편에 의해서 본인의 활동이나, 사회활동등을 제약 받게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