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 팔자 (명리학)/사주 기타

사주에서 연애운 보는 법

by TwinJ 2025. 4. 17.
반응형

사주에서 **연애운(戀愛運)**을 보는 방법은 단순히 “애인이 생길까?”만 보는 것이 아니라,
연애를 하게 되는 시기, 연애 스타일, 연애에서의 문제점,
그리고 궁합과 인연의 깊이까지 총체적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연애운을 보기 위해선 기본 명조 분석 → 연애 가능성 → 연애 시기 → 운의 흐름까지 단계적으로 살펴야 합니다.

 


1단계: 기본 명조에서 연애 스타일 파악하기

연애는 사주에서 이성(異性) 간의 인연, 감정적 끌림, 관계 유지력 등으로 보며,
성별에 따라 연애의 핵심 별(용신)은 달라집니다.

🔹 남성 사주에서 연애운 보는 법

요소의미
재성(財星) 이성, 연인, 여자운
정재(正財) 정식 연애, 진중함, 결혼 적합형
편재(偏財) 연애가 잦고 인기가 많은 스타일, 빠른 감정적 몰입

🔹 여성 사주에서 연애운 보는 법

요소의미
관성(官星) 이성, 남자운, 관계 형성
정관(正官) 책임감 있는 연애, 헌신형 남성, 결혼 적합형
편관(七殺) 강한 끌림, 자극적 연애, 빠른 감정 전개, 다소 위태로움

2단계: 연애 성향 & 연애운 가능성 판단 요소

① 연애 가능성 자체

  • 남자: 재성이 사주에 존재하는가?
  • 여자: 관성이 사주에 존재하는가?

→ 없다고 해서 연애를 못 한다는 뜻은 아님. 다만 연애 감각이 약하거나, 본인의 관심도가 낮음을 의미.

② 연애에 대한 태도

  • 재성/관성이 일지(日支)에 있으면
    → 연애에 감정적으로 깊이 몰입, 정서적으로 민감함.
  • 재성/관성이 연간(年干)에 있으면
    → 연애보다 사회적 이미지 중시, 연애에 거리감 있음.
  • 재성/관성이 월간/시간에 있으면
    → 연애를 삶의 한 부분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임.

③ 연애운의 흐름 가능성

  • 재성/관성이 충당하거나 합화되는 운 → 연애 시작 가능성 ↑
  • 식상 → 재성 흐름(남자), 인성 → 관성 흐름(여자) → 이성운 활성화

3단계: 연애가 실제로 들어오는 시기 보는 법

연애가 들어오는 시기는 주로 **대운(10년 단위)**과 **세운(1년 단위)**에서 확인합니다.

어떤 운이 연애운인가?

성별연애운 관련 오행
남성 재성(정재/편재) 들어오는 해
여성 관성(정관/편관) 들어오는 해

단, 자기 사주의 일간(日干)이 어떤 오행이냐에 따라 재성·관성의 종류가 달라지므로, 일간 기준으로 오행을 분석해야 합니다.


연애운 활발한 경우

  • 연애별(재성/관성)이 합·충을 받는 해
    • → 누군가와 강하게 엮이거나 마음이 흔들림.
  • 정재·정관운 → 안정적 연애, 오래 가는 인연.
  • 편재·편관운 → 짧고 강렬하거나, 빠른 연애 시작.
  • 일지(日支)와 충이 발생하는 해 → 기존 관계 흔들리거나 새로운 인연 등장.

4단계: 실제 예시로 보는 연애운 흐름

예: 남성 / 일간이 "갑목(甲)"인 경우

  • 재성 = 토(土)
  • 갑목 기준 재성운 = 무토(戊), 기토(己)

→ 이 남자에게 무토·기토가 대운/세운에 들어오는 해 → 연애운 활성화.


예: 여성 / 일간이 "신금(辛)"인 경우

  • 관성 = 화(火)
  • 신금 기준 관성운 = 병화(丙), 정화(丁)

→ 병화·정화 대운/세운 → 남자 인연 강하게 들어옴 → 연애운 발동.


추가 참고: 연애운에 영향을 주는 기타 요인

항목영향 내용
일지(日支)와의 합/충 감정적 중심이 흔들릴 때 → 인연 등장 가능성
공망(空亡) 연애운이 들어와도 공허해지거나 실제 관계 형성 어려움
식상(食傷) 감정 표현력, 연애의 주도권과 관련 → 식상이 강할수록 감정적 표현이 활발
비겁(比劫) 경쟁자의 등장, 연애 삼각관계 가능성 등

정리하면, 연애운을 보는 핵심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본 명조에서 연애운의 본성 확인
    • 남자: 재성 / 여자: 관성
    • 정재·정관 vs 편재·편관
  2. 대운과 세운에서 연애별이 들어오는 시점 포착
  3. 연애별과 일지, 월지 등과의 충합 관계 확인
    • 감정 중심이 흔들리는 시기 = 인연 등장 가능성 ↑
  4. 연애 성향과 주도권, 표현 스타일까지 종합 분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