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기본 전제: 사주의 직업운과 변화운의 원리
이직은 단순히 '직장을 옮긴다'는 것을 넘어서서 기존의 직업 환경, 업무 내용, 조직, 인간관계 등에서 탈피하는 변화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직운을 분석할 때는 기본 사주의 직업 성향, 대운과 세운의 변화, 관성(官星)과 인성(印星), 비견/겁재(比肩/劫財) 등을 중심으로 봅니다.
2. 직업 변화와 관련된 주요 요소들
① 관성(官星)의 변화
- 관성은 직장, 상사, 조직을 의미합니다.
- 대운이나 세운에서 관성이 충(沖)·파(破)·합(合) 당하거나 새로운 관성이 등장하면 직장 환경의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 특히 기존 관성이 깨지고 새로운 관성이 들어오는 경우 → 조직 이동, 이직, 직무 변경 가능성.
② 인성(印星)의 변화
- 인성은 안정성, 조직 보호, 자격, 배움 등과 관련 있습니다.
- 인성이 깨지거나 약화되면 기존 조직과의 결속력이 약해짐 → 이직 가능성이 생깁니다.
- 반대로 강한 인성이 들어오면 새로운 자격 취득 후 이직하는 경우도 있음.
③ 비견/겁재(比肩/劫財)의 작용
- 비견/겁재는 경쟁자 또는 독립성의 상징입니다.
- 이들이 강하게 작용할 때는 직장 내 경쟁 심화, 자기 주장 강화, 이직 또는 창업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특히 겁재가 강하게 들어오는 시기는 기존 체제에 대한 반발, 새로운 기회를 추구하는 시기로 이직 가능성↑
④ 식신/상관(食神/傷官)의 활동
- 직업에 대한 불만족, 창의성, 자율성 추구를 의미.
- 상관이 강하게 작용할 때는 기존 직장과의 갈등, 새로운 진로 모색, 프리랜서, 이직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3. 이직운 판단 시 필수적으로 보는 운의 흐름
🔹 대운(10년 단위의 흐름)
- 대운이 바뀌는 시점은 삶 전체가 재편되는 시기이므로, 이직이나 직업 변화 가능성이 큽니다.
- 특히 대운에서 관성이 깨지거나 새로운 기운이 들어오면 주목해야 합니다.
🔹 세운(1년 단위 흐름)
- 세운에서 위에서 말한 관성·인성·비겁·식상 등에 충격이나 합화가 일어날 경우는 구체적인 이직 시점이 됩니다.
- 예: 관성이 충·파 당하는 해 → 상사, 직장과의 갈등 → 이직.
4. 구체적인 예시로 보는 이직운
예를 들어,
- 기본 명조에 정관(正官)이 있는데, 대운에서 겁재가 들어와 정관을 충하거나 파할 경우
→ 기존 직장과의 갈등 발생 → 이직. - 상관운이 들어오고 상관이 관성을 극하는 구조가 형성되면
→ 조직에 반발심, 불만 ↑ → 이직, 혹은 독립 가능성. - 인성운이 약해지고 비견/겁재가 강하게 들어오면
→ 조직과의 유대가 약해지고 개인주의 성향 강화 → 이직 또는 창업.
5. 이직운을 판단할 때의 실전 팁
- 이직 자체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이직이 '좋은 변화인지' 또는 '불안정한 시도인지'도 함께 판단해야 합니다.
- 기본 명조의 직업운이 불안정하다면 반복적인 이직이 가능하고,
명조가 안정적이면 이직은 비교적 신중하게 이루어짐. - 단순한 이동이 아니라 진로 변경·창업·휴직 등도 함께 고려하여 이직운을 포괄적으로 해석합니다.
반응형
'사주 팔자 (명리학) > 사주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에서 배우자복 보는법 (0) | 2025.04.18 |
---|---|
사주에서 연애운 보는 법 (0) | 2025.04.17 |
자녀 교육 방법 (사주 일간) (0) | 2025.04.09 |
사주 일주별 공부방법 (0) | 2025.04.08 |
좋은 사주와 용신(用神) 찾기 (0) | 2022.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