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해외에서 오랜 생활을 해왔고, 인도 사람도 많이 만나 보았습니다. 인도사람의 약 80%가 흰두교이며, 이슬람교가 약 13%이며, 기독교 및 기타 종교가 약 7%됩니다. 제가 여러사람을 만나서 왜 소를 먹지 않느냐고 물어봤을때 대부분의 인도사람은 알지 못했습니다. 유일하게 저에게 답을 준 친구가 있었는데, 그 친구가 흰두교에 대해서 엄청 공부를 하고, 인도의 성지라고 불리우는 바라나시에도 여러번 가는 친구에게 직접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 부분을 여러분과 공유코자 합니다.^^
사실 인도사람 모두가 소를 안먹는거이 아니라 흰두교인 들이 소를 먹지 않으며, 그 이유를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인도 사람들이 소를 먹지 않는 이유는 흰두교와 연관이 되어 있습니다.
자 그럼 먼저 흰두교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인도의 종교들이 갖는 공통적인 특성은 종교가 생활의 가장 중요한 지침이 된다는 것이다. 즉 인도인에게 있어서 종교는 삶의 방식이며 숨 쉬는 것과 똑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은 영어에서도 찾아 볼수 있습니다. 흰두교는 영어로 Hinduism으로 서양인 관점에서 인더스 강의 문명이라고 하여, 종교라기 보다는 거의 문화에 가깝다고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카스트 제도는 힌두교의 '업(카르마, Karma)'을 바탕으로 한 윤회설을 믿어 생겨난 것으로, 지금의 생은 지난 생의 결과이며 다음 생을 위한 준비이므로 카스트는 업의 결과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인생의 궁극적 목적을 '생의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에 두고 있으며, 모두 '윤회의 겁'에서 벗어나는 것, 즉 해탈을 최상의 가치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흰두 사상의 핵심은 인간은 물질적 요소인 신체와 영적요소인 영혼으로 구분되어 있고, 물질적 요소인 신체와 영적 요소인 영혼이 합치되어, 자신의 본질이 우주의 본질과 같다는 것을 깨달으면 개별 의식을 갖지 않고, 두려움이 없고, 평정상태에 도달하게 되는 것인데 이를 해탈이라고 합니다.
해탈을 하기 위해서는 수행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인도에 가면 머리와 수염을 기르고 기이한 형태로 수행하는 모습을 자주 보게 되는데, 모두 수행을 하는 것입니다. 넓은 의미의 요가는 해탈에 이르기 위해 흰두교도들이 사용해온 다양한 수행 방법을 총칭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건강을 위한 요가는, 원래 해탈을 위한 수행형태에서 변형된 것으로 좁은 의미의 요가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 흰두사상의 핵심이 신체와 영혼의 조화가 필요합니다. 그러려면 요가를 통해서 수련도 하고, 신체 및 영혼도 건강해야 합니다. 따라서 먹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면 왜 소를 먹지 않는 걸까요? 소는 풍부한 단백질을 제공해주는데도 불구하구요..^^
소를 인도에서 신성하게 여기는 이유는 유일하게 본인의 죽음을 아는 동물이기 때문입니다. 유튜브 찾아 보시면 도살장에 끌려가는 소들을 보면 울고 있습니다. 본인의 죽음을 알기 때문이지요. 보통 사람이나 동물들이 가장 스트레스를 받을때가 본인의 죽음을 알때라고 합니다.
그러면 몸에서는 엄청난 스트레스로 인하여, 안 좋은 호르몬이 분비 되겠지요. 그러면 그러한 소를 먹게 된다면 사람의 신체에도 안좋은 영향을 끼친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상입니다.^^
'재미있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상 하나로 황제를 알아보다 – 풍도와 송 태종의 운명적인 만남 (0) | 2025.04.22 |
---|---|
천재 수학자 앨런 튜링: 2차 대전을 승리로 이끌고 컴퓨터의 아버지라 불린 비운의 영웅 (0) | 2025.04.20 |
네페르티티의 아름다움과 실종: 고대 이집트의 미스터리 (0) | 2025.04.14 |
파라오의 무덤과 저주 (투탕카멘의 무덤) (0) | 2025.04.13 |
재미있는 이야기_중국의 마의 선인 (0) | 2021.12.01 |